Surprise Me!

[앵커리포트] '제국의 무덤' 아프간...美 실패 원인은 / YTN

2021-08-17 10 Dailymotion

아프가니스탄, 중앙아시아와 중동·남아시아를 잇는 요충지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면적은 한반도의 세 배 정도, 국토 대부분은 높은 산지입니다. 대신 우라늄, 희토류, 석유 등 지하자원이 풍부합니다. <br /> <br />이런 아프간과 미국의 전쟁, 지난 2001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. <br /> <br />9·11 테러 배후로 꼽힌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 알카에다와 그 수장인 오사마 빈 라덴을 넘기라는 미국, 이에 응하지 않은 아프간 집권 세력 탈레반. <br /> <br />결국, 전쟁이 시작된 거죠. <br /> <br />개전 두 달여 만에 미국은 승리를 선언했고 지난 2011년에는 오사마 빈 라덴도 사살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끝이 아닌 시작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탈레반은 지방 곳곳의 산악지대 등으로 숨어들어 미국과 신정부를 괴롭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4년 오바마 전 대통령이 철군 카드를 처음으로 꺼냈고, 단계적 철수가 시작된 게 지난 5월, 그리고 3개월여 만에 수도가 다시 탈레반 손에 들어간 겁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신정부의 실패, 가장 큰 원인은 무능과 부정부패가 꼽힙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 국영 통신 스푸트니크, 카불에 있는 자국 외교관 말을 인용해 "아프간 대통령이 수도 함락 전 돈으로 가득한 차 4대와 함께 탈출했고 돈이 헬기에 다 못 들어가 일부는 활주로에 남겨뒀다"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아프간 자체 병력 육성하라고 준 100조 원에 달하는 돈, 지난 2분기 미 의회에 제출된 보고서는 "아프간 정부군에 지급된 연료 절반 이상이 불법으로 빼돌려지고 있다"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'민주국가 이식'이라는 체제 변화에도 실패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 두 장의 사진이 있는데요. <br /> <br />왼쪽은 탈레반 집권 전인 1970년대, 아프간 수도 카불입니다. 미니스커트를 입고 다닐 정도로 탈종교적인 도시였죠. <br /> <br />오른쪽은 여성들이 부르카라고 하는, 머리부터 발목까지 덮는 의상을 입은 사진인데요. <br /> <br />탈레반 집권기가 아닌 지난 2014년 신정부 수립 뒤 투표를 위해 줄을 선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을 의식해 선거 치르고, 여성 국회의원 숫자도 늘렸지만, 실상 사회 전반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던 겁니다. <br /> <br />"당신들에게는 시계가, 우리에겐 시간이 있다." <br /> <br />탈레반 한 간부가 2011년 미 언론과 인터뷰에서 했던 말인데요. <br /> <br />외국 군대, 그르고 그 힘에 의존한 정부였다는 한계 역시 실패 원인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[이희수 / 성공회대 석좌교수 : 절대 다수의 국민 입장에서는 미국 이익 대변자의 모습이 강하지 진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광렬 (parkkr082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81713463946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